
[리포트]
1971년부터 시작된 쌀 생산 억제 정책.
이를 위해 일본 정부는 벼 휴경 면적을 농가에 할당하고, 쌀 대신 다른 작물로 바꾸면 보조금을 지급해 왔습니다.
지난해 여름부터 쌀값이 크게 오르고도 정부는 유통업자가 재고를 풀지 않아 생긴 문제라고 해명했습니다.
그런데 조사를 통해 유통업자의 문제는 사실이 아닌 걸로 밝혀졌습니다.
외국인 관광객들의 쌀 소비가 늘면서 수요 예측도 실패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고이즈미 신지로/농림상 : "판단을 잘못한 것이 (쌀값 급등의) 원인이라는 점은 틀림없습니다."]
결국 쌀 증산에 나서기로 방향 전환을 결정했습니다.
주식용이 아닌 쌀 재배 중 일부를 주식용으로 돌리고, 드론으로 농약 등을 살포하는 '스마트 농업 기술'과 모내기 대신 논에 직접 볍씨를 파종하는 새로운 기술도 지원할 방침입니다.
하지만 농민들의 고령화가 심각한 데다 증산을 위한 설비 투자에 많은 돈이 들어 국가 지원이 필요하다는 농민들 목소리도 상당합니다.
KBS 월드 뉴스입니다.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일본 #쌀 #생산 #쌀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