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직장인 절반 “AI 쓴다”…확산 속도 미국의 2배(2025.08.19/KBS뉴스)

Просмотров: 2   |   Загружено: 2 дн
icon
뭔일이니? 감성돋는 자막 뉴스
icon
0
icon
Скачать
iconПодробнее о видео
[자막뉴스]직장인 절반 “AI 쓴다”…확산 속도 미국의 2배(2025.08.19/KBS뉴스)

앵커

업무 등에 챗GPT 같은 생성형 AI 활용하는 분들 많은데요.

직장인 2명 중 1명 이상이 쓰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산, 미국보다 2배 많은 수준입니다.

박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보험료를 산출하는데 수명은 꼭 필요한 자료입니다.

생성형 AI에 기대수명을 물었더니, 데이터가 바로 시각화됩니다.

[임지영/보험개발원 데이터AI기획팀장 : "자료를 검색하거나 요약하거나 또 해외 자료인 경우에는 번역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을 하고 있습니다."]

챗GPT가 첫 서비스를 시작한 건 2022년 11월.

2년 반 정도 지났는데, 국내 근로자가 업무에 생성형 AI를 쓰는 비율, 51.8%로 조사됐습니다.

인공지능의 최선두 국가, 미국은 26.5%입니다.

매일 1시간 이상 생성형 AI를 쓰는 이른바 '헤비 유저' 비율도 한국이 미국의 2배 이상이었습니다.

[1995년 8월/'뉴스9' : "인터넷 통신도 그림을 단 한 번만 누르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초창기 인터넷과 비교해도 AI가 훨씬 빨리 확산하고 있습니다.

상용화 만 3년 시점 국내 인터넷 활용률은 8%.

생성형 AI는 3년이 안 됐는데도 63.5%, 8배 이상입니다.

생성형 AI 활용은 근로시간도 3.8% 정도 줄였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1시간 반 정도 덜 일할 수 있는 겁니다.

[서동현/한국은행 고용연구팀 과장 : "(앞으로) 업무시간이 35시간 필요하다 하면은, 생성형 AI를 활용해서 좀 더 유연성을 높이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고요."]

지금은 사무직에 국한되지만, 물리적 AI, 즉 AI를 장착한 로봇이 보편화되면 생산직도 큰 영향을 받을 거라고 한국은행은 전망했습니다.

KBS 뉴스 박찬입니다.

촬영기자:정민욱/영상편집:고응용/그래픽:김성일

#직장인 #AI #생성형AI #활용 #조사 #보험료 #기대수명 #데이터 #시각화 #챗GPT #업무 #비율 #미국 #헤비유저 #인터넷 #확산 #근로시간 #유연성 #사무직 #물리적AI #로봇 #한국은행 #전망

Похожие видео

Добавлено: 56 год.
Добавил:
  © 2019-2021
  [자막뉴스]직장인 절반 “AI 쓴다”…확산 속도 미국의 2배(2025.08.19/KBS뉴스) - RusLar.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