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전지 최근 반등, 속으면 안됩니다|김홍석 KCGI자산운용 본부장

Просмотров: 7, 179   |   Загружено: 1 дн
icon
한국경제TV
icon
109
icon
Скачать
iconПодробнее о видео
🔹 시장 조정, 불가피한 구간
오늘 이 시간, KCGI 자산운용 김홍석 본부장과 함께 시장의 변동성과 8~9월 전략에 대해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 상반기 급등 이후 7~8월 들어 횡보·속복 조정 구간 진입.
✅ 내수 소비는 여전히 부진하지만, 수출 섹터 중심의 성장 동력은 유지.
✅ 방산·원전은 단기 조정 가능성이 크며, 밸류에이션 매력 회복 시점을 기다릴 필요.
📍 공격적 매수는 아직 이르고, 일부 추가 하락 이후 진입이 유효.

🔹 자동차 & 2차전지
✅ 자동차: 고물가·경기 둔화로 신차 구매 지연 가능성 → 부정적 전망.
✅ 2차전지: ESS 반짝 반등했지만 규모·수익성 모두 제한적.
📍 전기차 수요 둔화와 삼원계 배터리 구조적 한계 → 보수적 접근 권고.

🔹 한미 정상회담 & 외교 이벤트 변수
✅ 23~26일, 이재명 대통령 일본·미국 순방 → 투자·산업 협력 이슈 주목.
✅ 반도체·조선·에너지 협력안이 논의될 가능성.
✅ 반도체 지분 요구설은 실현 가능성 낮음 → 정치적 압박/협상용 카드 성격.
📍 단기적으로 불확실성은 있지만, 중장기적 기회 요인으로 해석 가능.

🔹 반도체: 삼성전자 vs SK하이닉스
✅ SK하이닉스: HBM 독점적 지위 → 수성 국면. 그러나 시장 점유율 일부는 빼앗길 가능성.
✅ 삼성전자: 후발주자지만 HBM·파운드리 회복 모멘텀 → 단기 주가 매력 ↑.
📍 단기: 삼성전자 우위.
📍 중기~연말: 전체 반도체 업황 호조 속에 결국 양사 모두 긍정적 흐름.

🔹 바이오 & K-컬처
✅ 바이오: 금리 인하 기대감과 맞물려 긍정적 전망. 다만 종목별 차별화 필요.
✅ K-컬처 (화장품·미용기기·식품·엔터): 글로벌 확산 지속, 최근 조정으로 밸류에이션 매력 회복.
📍 중장기 수익률 확보 차원에서 선별 매수 기회.

📊 종합 전략
단기 전략: 반도체(삼성 중심) + 조선주 비중 확대.
관망 전략: 방산·원전은 밸류에이션 매력 회복 시점 기다리기.
중장기 전략: K-컬처·바이오에서 성장주 선별 매수.
회피 전략: 자동차·2차전지는 여전히 부정적 국면.

🔖
#코스피 #2차전지 #삼성SDI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방산주 #원전주 #조선주 #바이오 #K컬처 #투자전략

◎ 출연진 : 김홍석 KCGI자산운용 본부장, 김치형 앵커
◎ 제작진 : 남기태 PD 이석준 AD 전소연 FD 변미현 FD 이다몬 FD

-------------------------------------------------
△대한민국의 경제를 보세요!
△빠르고 정확한 경제·증권 뉴스를 24시간 전해드립니다.
△구독+좋아요!
-------------------------------------------------
◇ 한국경제TV 유튜브 구독


◇ 한국경제TV 유튜브 LIVE


◇ 협업 및 비즈니스 문의
hkwowtv@wowtv.co.kr
-------------------------------------------------
🎯 투자 판단, 정보가 승부다.
한국경제TV 공식 텔레그램에서
빠르고 정확한 핵심 정보를 지금 확인하세요.
🎁무료 구독 👉
----------------------------------------------------------------------
◇ 한국경제TV
-홈페이지
-플러스친구
-트위터
-페이스북

-편성정보:
-------------------------------------------------
◆ 한국경제TV 패밀리 채널을 구독하세요!
-뉴스는 [한경TV 뉴스] 한국경제TV뉴스
-주식은 [와우넷] 와우넷w
-주식앱 [주식창]
-교육은 [와우아카데미]
-------------------------------------------------

Похожие видео

Добавлено: 56 год.
Добавил:
  © 2019-2021
  2차전지 최근 반등, 속으면 안됩니다|김홍석 KCGI자산운용 본부장 - RusLar.Me